본문 바로가기

시골농사/농사정보

참외 심는 시기와 재배법, 텃밭 초보도 가능한 여름 준비

반응형

참외, 지금 심어도 될까?

참외는 생각보다 키우기 쉬운 작물이다. 그런데도 매번 망설이게 되는 이유는 있다. 베란다 텃밭에서 과연 가능할까? 지금 시기가 맞을까? 수확까지 얼마나 걸릴까? 결국엔 사 먹는 게 낫겠지 하고 넘기기 쉽다.

 

하지만 딱 한 번만 제대로 키워 보면, 다음 해부터는 망설임이 없다. 기다릴 만큼 달고, 심을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는 걸 몸이 먼저 기억하게 된다.

참외 심는 시기, 4월 중순부터 5월 초까지

참외는 따뜻한 기온을 좋아하는 작물이다. 기온이 안정적으로 15도 이상 유지되는 4월 중순부터 5월 초가 심기 좋은 시기다. 그보다 너무 빨리 심으면 냉해를 입을 수 있고, 너무 늦으면 열매가 제대로 맺지 않는다.

 

모종을 먼저 길러서 옮겨 심는 것도 방법이다. 씨앗 파종은 3월 말부터 실내에서 가능하고, 3~4주 정도 자란 모종을 5월 초쯤 노지로 옮겨 심으면 가장 이상적인 성장 속도를 기대할 수 있다.

텃밭 주변에 꿩이 오지 않게 해주면 좋습니다. 단맛에 먹기도 하거든요.

하우스 재배와 노지 재배의 차이

하우스 재배는 날씨 영향을 덜 받아 안정적이다. 온도, 습도 조절이 가능하니 수확량도 일정하게 나온다. 대신 초기 설치 비용과 관리가 들어간다.

 

노지 재배는 투자 비용이 거의 없지만 날씨 영향을 많이 받는다. 비가 자주 오거나 기온이 들쭉날쭉하면 열매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자연에 맡기고 키우는 만큼 결과는 유동적이다.

 

만약 작은 공간에서 취미로 키우는 수준이라면 하우스 대신 햇빛 잘 드는 베란다나 마당에서 노지 방식으로 시작해도 무방하다.

재배 방법, 생각보다 복잡하지 않다

참외는 줄기가 옆으로 퍼지는 덩굴성 식물이기 때문에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직접 땅에 심을 경우 1m 간격을 두고 심는 게 좋고, 화분에 심는다면 가로가 넓은 용기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흙은 배수가 잘 되는 상토에 마사토나 퇴비를 섞는다.


처음에는 물을 자주 주지만, 뿌리가 자리 잡고 줄기가 퍼지기 시작하면 흙이 마를 때만 주는 것이 원칙이다. 과습하면 뿌리가 쉽게 썩는다. 줄기가 자라면 지지대를 세워주는 게 좋고, 꽃이 피기 시작하면 수분을 도와줘야 열매가 잘 맺힌다.벌이 없는 환경에서는 수술의 꽃가루를 암술에 손으로 옮겨주는 인공수분이 필요하다.

효능, 여름에 딱 좋은 과일

참외는 수분 함량이 많아 갈증 해소에 좋다. 칼륨이 풍부해서 몸속에 쌓인 나트륨을 배출하는 데 도움을 주며, 식이섬유도 많아 변비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베타카로틴 성분은 눈 건강과 피부 보호에 좋고, 당분이 상대적으로 낮아 다이어트 간식으로 활용하기에도 부담이 없다.

여름철 입맛이 없을 때, 냉장고에 차갑게 둔 참외 하나면 갈증도 풀리고 기분도 시원해진다.

부작용, 체질 따라 주의가 필요하다

참외는 찬 성질을 가진 과일이라 속이 찬 사람이나 평소 설사를 자주 하는 사람에게는 맞지 않을 수 있다. 또 과하게 먹으면 복통이나 설사를 유발할 수 있고, 당분도 어느 정도 포함돼 있으므로 당뇨가 있는 사람이라면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이 좋다.

 

어떤 음식이든 적당한 선에서 즐기는 게 가장 중요하다.

같이 먹으면 좋은 음식 조합

참외는 단독으로 먹어도 좋지만, 의외로 다른 재료와도 잘 어울린다. 얇게 썬 참외를 요거트와 섞어 먹으면 간단한 디저트가 되고, 상큼한 과일 샐러드에 참외를 넣으면 식감이 살아난다. 우유나 바나나와 함께 스무디로 갈아 마셔도 깔끔하고,
슬라이스한 참외를 오이처럼 피클로 만드는 레시피도 있다. 입맛 없을 때 활용하면 기분 전환에도 좋다.

정리하자면

  • 참외는 4월 중순부터 5월 초 사이에 심는 것이 적기다
  • 햇빛, 배수, 넓은 공간이 필요하며 지지대 설치도 중요하다
  • 하우스는 안정적이지만 비용이 들고, 노지는 자연적이지만 날씨 변수에 민감하다
  • 수분 보충, 이뇨작용,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과일이다
  • 찬 성질이 있어 소화 기능이 약한 사람은 주의해야 한다
  • 요거트, 스무디, 샐러드 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