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심한 불안감과 공포심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계신가요? 불안 장애는 별다른 이유 없이 발생하며, 다양한 증상을 통해 나타납니다. 이 글에서는 불안 장애 주요 증상과 완벽한 대처법을 자세히 소개합니다.
1. 불안장애 통계
2020년 기준 한국에서 불안장애를 가진 사람은 약 300만 명으로 추정이 되고 있습니다. 이 수치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약 6%에 해당하는데요.
여성(7.2%)이 남성(4.9%)보다 더 많이 앓는 질환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별로는 20대(10.3%)에서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였고, 30대(7.8%), 40대(6.6%), 50대(5.4%), 60대 이상(4.1%) 순으로 감소를 했습니다.
2.불안장애 유형
불안장애는 다양한 유형이 있는데요. 그 중 가장 흔한 유형은 아래와 같아요.
☞공황 장애: 1.3%
☞ 특정 공포증: 2.8%
☞ 사회 불안 장애(SAD): 2.6%
☞ 전반성 불안 장애(GAD): 6.4%
질병관리청과 대한정신건강재단의 통계에 의하면 불안장애 통계가 이정도로 나왔습니다.
3.불안장애 증상 및 완화 방법
불안 장애의 증상은 유형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등이 나타납니다.
3-1. 신경질& 초조함
▶쉽게 흥분하고 초조해 합니다.
▶근육이 계속 긴장된 상태로 있습니다.
▶안절부절 못하는 느낌이 있습니다.
▶평소에 쉽게 놀라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따라해 보세요.
▶근육이 이완될수 있는 스트레칭등을 합니다.
▶심호흡 및 명상으로 마음을 편안하게 해 줍니다.
▶규칙적인 운동으로 기분을 전환시킵니다.
▶알코올이나 카페인 섭취를 금합니다.
▶충분한 수면으로 컨디션을 최적으로 유지 합니다.
3-2. 쉽게 피로해짐
▶잦은 피로감으로 일상생활이 힘들어집니다.
▶집중력 저하로 일이나 공부를 제대로 하기 힘들어집니다.
▶만성적 피로감에 시달립니다.
▶에너지 부족으로 생활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난다면 다음과 같이 해보세요
▶스트레스 관리 및 긴장을 완화 시킨다.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취한다.
▶규칙적인 운동과 균형잡힌 식단으로 건강을 유지한다.
▶ 잠을 잘 자기 위해 미네랄- 마그네슘등을 섭취합니다.
3-3. 집중력 저하
▶생각 정리가 잘되지 않습니다.
▶기억력 저하
▶주의력 산만
▶업무나 학업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완화법은 아래와 같아요
▶규칙적인 일과 및 계획을 수립합니다.
▶휴식은 짧고 자주 취합니다.
▶집중력에 좋은 운동을 합니다.
▶명상 및 요가를 합니다.
3-4.짜증과 초조함
▶주변사람들과의 갈등이 잦습니다.
▶잦은 짜증과 불안감이 있습니다.
▶성급해지고 공격적 성향
▶감정조절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완화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충분한 휴식과 취미 활동을 합니다.
▶건강한 감정을 표현할수 있는 방법을 습득합니다.
▶스트레스 관리와 긴장 완화를 합니다
▶심한 경우 인지 행동 치료를 받습니다.
3-5. 수면장애
▶숙면을 취할수가 없습니다.
▶잠들기 어렵습니다.
▶피로감 증가 및 일상 생활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잠을 깼다 잠들었다를 반복합니다.
완화법입니다.
▶낮 시간 운동 및 햇빛에서 시간을 보냅니다.
▶잠들기전에 폰이나 컴퓨터 하는 시간을 줄입니다.
▶카페인 및 알코올 섭취를 제한합니다.
▶숙면 환경을 조성합니다.
▶규칙적인 수면 패턴을 유지합니다.
3-6.두통, 속쓰림, 근육 긴장등 신체증상
▶두통이나 편두통등의 증상이 빈번합니다.
▶위장장애나 소화불량이 생기기도 합니다.
▶심장이 두근거리거나 호흡이 곤란해 집니다.
▶근육이 긴장되어 통증이 생길수 있습니다.
완화법입니다.
▶심할때는 심리치료나 약물치료를 받습니다.
▶스트레스 관리 및 긴장환화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을 가집니다.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합니다.
불안장애는 누구에게나 생길수 있습니다. 가볍게 지나갈수도 있지만 그대로 방치하면 심각해 질수도 있기 때문에 잘 관리 하셔야 합니다. 오늘은 불안장애 증상과 종류, 통계, 완화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건강 생활 > 건강미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감기 빨리 낫는 법 7가지 (0) | 2024.02.24 |
---|---|
콴첼 콘드로이친 효능 및 먹어야 하는 이유 (0) | 2024.02.23 |
대상포진 초기증상 연령별 발생률 완벽 정리 (0) | 2024.02.21 |
대장암 초기증상 조기 발견과 예방법 (0) | 2024.02.20 |
장염 빨리 낫는 법 먹어도 되는 음식 제대로 알기 (0) | 2024.02.20 |